2022.03.16 - [재테크/부동산] -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2탄! LTV, DTI, DSR?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2탄! LTV, DTI, DSR?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1탄! 건폐율, 용적률은? 안녕하세요, 오겜의 오겜만족 재테크정보공유, 부동산 편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의 열기로 전국 각지의 주택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ogame.tistory.com
저번 시간엔 부동산용어 정리 2탄, LTV, DTI, DSR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부동산 청약, 구매를 위한 용어정리 3탄, 면적에 관련된 용어정리 편입니다.
면적을 표현해주는 용어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공용면적, 서비스면적 등 너무나 많죠.
하나씩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아파트 평형도는 위의 그림과 같을 겁니다. 해당 자료를 가지고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용면적
방, 주방, 거실, 화장실 등
입주자가 실제 사용하는 공간에 대한 면적
청약, 계약, 과세 등 기준이 되는 면적
전용면적이란 아파트 등 건축물에서 소유주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을 뜻합니다. 이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은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소유주만의 공간을 뜻하죠. 단, 최근에 아파트 확장 등으로 발코니를 방으로 합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이때 발코니는 전용면적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는 것이죠.
전용면적은 청약, 임대아파트의 계약, 세금의 과세기준 등 기준이 되는 면적입니다. 따라서 건물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죠.
아파트, 오피스텔에서 각 평형별로 전용률에 따라 전용면적이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전용면적을 반드시 확인하여 계약, 가격비교 등을 해야 합니다.
공용면적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뿐만 아니라 관리실, 커뮤니티센터, 경로당이 해당
주거공용부분, 기타공용부분으로 구분
공용면적은 다른 사람과 같이 쓰는 공간을 뜻합니다. 방금 전 전용면적은 내 집 그 자체였다면, 공용면적은 집까지 오는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이 포함되죠
이때 공용면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바로 주거공용부분과 기타공용부분입니다.
공용면적의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해당 장소 | 의미 |
주거공용면적 |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공동현관, 비상구 | 한 건물 내에서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간 |
기타공용면적 | 경비실, 주차장, 관리실, 커뮤니티센터, 경로당 등 | 건물 내 부대시설 면적 |
서비스면적
면적 구분에 포함되지 않는 면적(서비스)
발코니(베란다) 또는 다락방 등 제공 면적 해당
서비스면적은 발코니(베란다), 다락방 등 앞서 설명드렸던 면적뿐만 아니라 계약면적, 공급면적 등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면적입니다. 건설사에서 주택건설 시 제공되는 면적에 해당되므로 이 공간을 활용한다면 주택을 더욱 넓게 쓸 수 있겠죠?
실제로 요즘 아파트들은 예전에 지어진 아파트들과 비교했을 때 더 넓어진 느낌이 있을 겁니다. 바로 발코니(베란다) 확장으로 계약된 면적보다 넓게 활용하기 때문이죠. 이와 같이 서비스면적은 소유주의 활용도를 높여주는 면적이 되겠죠.
소유주가 사용 가능한 면적 = 전용면적 + 서비스면적(발코니, 다락방 등)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기타 공용면적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
아파트 : 공급면적 (주택법 적용)
오피스텔 : 계약면적 (건축법 적용)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건물은 계약 등에 사용되는 면적의 산출기준이 다릅니다. 아파트와 달리 오피스텔은 기타 공용면적까지 포함하여 분양대금을 치르게 되죠. 실제 사용하는 전용면적보다 계약하게 되는 면적이 더 넓어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즉 동일 면적이더라도 "아파트 전용면적 > 오피스텔 전용면적"이 되는 것입니다.
같은 분양평수라도 오피스텔이 작은 이유는 바로 이것, 전용률 때문이죠.
반대로 공용관리비 등에 산출기준이 되는 공용면적은 오피스텔이 아파트보다 넓습니다. 이는 공용관리비의 상승 요인이므로, 오피스텔의 경우 아파트보다 관리비가 비싸지게 되는 것입니다.
면적 환산 기준 (㎥↔평)
1평당 3.3㎡ (3.3058)
분양 시 기준이 되는 면적을 계산할 때는 ㎡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동안 평,㎡ 두 가지 단위를 사용해왔습니다. 따라서 아파트 등을 분양, 구매할 때 33형, 24형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이는 33평형, 24평형을 뜻하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평 ↔ ㎡ 환산으로 우리가 익히 아는 단위를 알아내는 게 중요할 것입니다.
1평은 약 3.3㎡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33형, 24형의 ㎡를 알아내려면 3.3을 곱하면 되겠죠. 반대의 경우에도 3.3을 나누면 됩니다.
33(평) 형 ↔ 약 108.9 ㎡
24(평) 형 ↔ 약 79.2 ㎡
오늘은 부동산용어정리 3탄으로, 면적에 관한 용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면적 용어들은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여러 부동산들을 계약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특히 각 부동산 목적물 별로 계약 시 적용되는 면적이 다르므로, 숙지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오겜의 오겜만족
빠른정보를 얻기 위해서 채널추가를 눌러주세요 ↗↗↗ 오겜의 오겜만족 재테크정보공유
pf.kakao.com
같이 보면 좋은 글
2022.03.15 - [재테크/부동산] -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1탄! 건폐율, 용적률은?
2022.03.09 - [재테크/부동산] - [부동산] 집을 어떻게 사나요? 내집마련 주택담보대출 정보 및 활용 (1/2)
2022.03.10 - [재테크/부동산] - [부동산] 집을 어떻게 사나요? 내집마련 주택담보대출 정보 및 활용(2/2)
2022.03.14 - [재테크/해외주식] - 배당성장주, 미국의 바이오기업 애브비 기업정보 및 분석! (1/2)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2탄! LTV, DTI, DSR? (0) | 2022.03.16 |
---|---|
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용어 정리 1탄! 건폐율, 용적률은? (1) | 2022.03.15 |
[부동산] 집을 어떻게 사나요? 내집마련 주택담보대출 정보 및 활용(2/2) (디딤돌, 보금자리론) (0) | 2022.03.10 |
[부동산] 집을 어떻게 사나요? 내집마련 주택담보대출 정보 및 활용 (1/2) (디딤돌, 보금자리론) (0) | 2022.03.09 |